권력층, 엘리트층에서 젊은 여성까지

북녘의 ‘못 살겠다’ 아우성
세습독재 탈출 귀순
권력층, 엘리트층에서 젊은 여성까지
좀 더 늦기전에 핵 버리고 살길 찾으라

정국이 4.13 총선 혼란에 빠져 있을 때 북녘 동포들의 ‘못 살겠다’는 아우성이 들린다. “쌀 한 줌이 귀할 때 무슨 핵이야”고 했지만 북의 젊은 독재자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를 비웃었다. 총선 결과가 나왔을 때 그가 얼마나 킬킬대며 박장대소 했을까를 생각하면 분통 터질 노릇이다.

▲ 북한의 해외 식당에서 근무 중이던 남자 지배인 1명과 여자 종업원 12명이집단 귀순했다. 경기도 시흥시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이동하는 모습. <사진=통일부>

충성파 잇단 귀순에 악행·악업 드러나

김정은이 정상적이었다면 그의 통치권력을 옹위하던 충성파 대좌가 딸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사실을 보고 받았다면 충격 받고 자숙해야 마땅했다. 대남공작 책임지위에 있던 호위무사가 탈출 귀순 후 그동안의 온갖 못된 짓을 진술하면 천인공노할 악행, 악업이 드러날 것이 아닌가.
이보다 앞서 출신 성분을 가려 내보내 중국 류경식당에서 근무하던 20대 젊은 종업원들 13명이 집단 탈출 귀순했지 않는가. 젊은 여성들 입에서 북에는 더 이상 희망이 없어 “대한민국의 딸로 살아가겠다”고 말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소식을 듣고 또 다시 ‘고난의 행군’을 강요하면 못 살겠다는 인간적인 항변이자 고백일 것이다.
그런데도 북측은 적십자사를 통해 천인공노할 ‘유인납치’라고 생떼를 쓰며 사과하고 돌려보내라고 주장했으니 참으로 웃길 노릇이다. 중국당국이 그들의 탈출 묵인했던 사실을 알고 있다고도 했다. 중국이 유엔의 대북제재 조치를 완전하게, 확실하게 이행하겠다고 밝힌 대목을 듣지도 못했는가.
문제는 북이 우리의 4.13 총선 정국의 혼란을 보고 마치 남쪽에 혁명적 반란이라도 일어났다고 착각하고 북측 체제의 말기적 현상을 덮으려는 의도가 아닌가. 민주체제 하의 선거란 시끄럽고 권력변화 과정의 요동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모르고 덤비려는 꼴이다.

좀 더 늦기 전에 지금이라도…

류경식당 종업원의 집단 귀순이나 대남공작부서 대좌의 탈출에 앞서 김정은의 통치자금 창구역 39호실의 간부들, 아프리카, 구라파, 동남아 각국에 나가 있던 북측 외교관들, 외화벌이 나갔던 간부 등이 줄줄이 귀순한 사실도 거의 공개되고 있다. 그러니까 북의 권력층, 엘리트층 등 성분이 좋고 당성이 강한 집단의 탈출 귀순이 잦은 것을 외부적 요인에 의한 유인이나 납치로 덮어쓰려는 수작이 바로 김정은 정권의 한계가 아니냐고 보는 것이다.
중국 저장성 닝보에서 외화벌이 임무에 종사하던 여 종업원들은 평양상업대, 예술대 등을 나온 선별된 성분에다 미모와 가무에 뛰어난 20대이니 그들이 한류를 보고 자유의 바람을 체험했다면 알만하지 않는가. 보도에 따르면 그녀들은 성형수술 한 얼굴에 한류 패션으로 멋을 부리며 지냈다니 김일성 생일 ‘태양절’ 축제를 위한 충성자금 상납에 시달리는 삶을 어찌 수용할 수 있겠는가.
앞으로 자유의 바람을 탄 추가 탈출 귀순도 막을 수 없을 것으로 본다. ‘못 살겠다’는 아우성으로 살길을 찾아 망명하려는 젊은 세대를 무슨 수로 끝가지 막겠다고 착각하려는가. 김정은이 고모부 장성택 마저 건성건성 박수 친 불충이라는 죄목으로 총살시킨 사실을 생각하면 북의 체제는 그냥 지속될 수는 없다고 본다.
더 늦기 전에 지금이라도 그가 핵과 미사일 대신에 배고픈 북녘 동포들에게 밥 먹여주는 정치로 살 길을 찾도록 권고한다. 끝내 그가 이를 거부하고 못 살겠다는 주민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다면 누가 그를 대신하여 북을 변화시켜 살 길을 선택토록 강요할 수는 없을까를 생각해 본다.
북의 핵이 결코 김정은 독재체제를 유지시켜주는 수단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것이 당면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통일로 가는 길이라고 믿는다. 4.13 총선 후 정국의 혼란 속에 정부와 군은 물론 온 국민이 대북 안보를 엄중히 경계토록 온 힘을 쏟도록 촉구한다.

[본 기사는 월간 경제풍월 제201호 (2016년 5월호) 기사입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