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死처리 참전유공 1,613명 명예회복 사연
아직 유족찾아주기, 종북좌파 척결과제산적

‘국민행동’ 徐貞甲(서정갑) 본부장
현충일의 특별한 감회
病死처리 참전유공 1,613명 명예회복 사연
아직 유족찾아주기, 종북좌파 척결과제산적

▲ 서정갑 국민행동본부장

종북 좌파와 싸우는 행동대장 서정갑(徐貞甲) 국민행동본부장은 매년 현충일이면 국립현충원을 참배하며 남다른 감회에 젖는다. 국립현충원에는 병사(病死)로 잘못 처리된 6.25 참전용사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뒤늦게 국가유공자로 예우되고 있는 무연고 전몰·순직자 1,613위의 새로운 묘비가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육군 문서관리단장 시절 무연고처리 문제의식

서 본부장이 6.25 전사자를 단순 병사로 잘못 처리된 사실을 추적 조사하여 국가유공자로 명예를 회복시킨 사실은 1996년 6월 6일자 조선일보가 크게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1992년 육군 중앙문서관리단장으로 근무하던 시절 국립현충원의 6.25 전사자 묘역에 무연고 묘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전투 시 부상으로 입원했다가 전사한 용사들이 단순 병사로 처리된 것이 아니냐는 문제의식을 갖게 됐다.
당시 서 대령은 매 주말이면 계룡대에서 서울로 올라와 동작동 국립묘지를 찾아 무연고 묘역을 돌아봤지만 현역 업무의 제약상 한계가 있어 역부족임을 실감했다. 그래서 1992년 12월 전역한 후 홀가분한 입장에서 6.25 당시 병적부와 병상일지 및 매장, 화장 보고서 등 관련 자료를 지프차 한 대 분량이나 수집하여 문서를 분석하고 현장을 답사하며 끝내 1,613명의 참전 유공지위를 회복시켜 줄 수 있었다.
이들 방대한 자료를 분석 확인하는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서 본부장이 창립한 육·해·공군, 해병대 출신 대령연합회 회원들의 협조를 얻어 3년간 끈질기게 추진해야만 했다.
뒤늦게 명예회복 된 1,613명은 육군 1,608명, 해군 5명으로 모두 국가유공자급인 전사와 순직으로 바로 잡았다. 이들의 명예회복 후에는 묘비를 바로 잡는 문제가 제기됐다. 국립현충원 측은 기존 묘비를 깎아 시멘트로 땜질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려 했지만 서 본부장이 “나라를 지킨 영령들에 대한 모독”이라고 강력 항의했다.
서 본부장이 당시 천용택 국방부 장관에게 이 문제를 제기하자 즉각 업무지시를 통해 전원 새로운 묘비를 제작, 교체할 수 있었다. 그로부터 매년 현충일이면 서 본부장이 특별한 감회로 이들 묘역을 참배하며 유가족들도 떳떳하게 참배하기에 이른 것이다. 올해 현충일에도 서 본부장은 지난 6월 1일 ROTC중앙회와 함께 묘역을 참배했다.

16세 중학생 김수태 소년병의 병사

서 본부장이 무연고 전사자들의 명예회복에 앞장 선 계기가 있었다. 6.25 당시 16세이던 부산 영도중학생 김수태 소년의 너무나 억울한 사연을 듣고 “나라가 참전 유공 용사를 무연고 병사자로 푸대접 할 수 있느냐”며 나선 것이다.

▲ 병사로 잘못 처리된 6.25 전사자를 조사하여 국가유공자로 명예를 회복시킨서정갑 본부장 기사. (1996. 6. 6 조선일보)

당시 김수태 소년은 영도다리로 구경나갔다가 길거리 헌병대의 검문을 받고 바로 입대했다. 전쟁이 한창일 때 충분한 훈련도 받지 못한 채 철원 백마고지 혈전에 참전하여 팔다리를 잃는 중상을 입고 대구 제1 육군병원으로 후송됐다. 육군병원에서 수술을 받았지만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군의관이 병사로 처리한 사실이 병상일지에 기록되어 있었다. 또 국립묘지 매·화장 보고서에도 역시 병사자로 처리되었다.
김수택 용사가 전사했지만 그의 모친은 결코 이를 믿을 수 없었다. 매일같이 집 앞에 나가 ‘수택아’라고 호곡하며 군 당국에 대해서는 “전사했다면 무덤이 어디 있느냐”고 울부짖었다. 이를 보다 못해 그의 형 김수근 씨가 동아대 법학과 2년을 휴학하고 동생의 전사처리 과정을 확인하러 나섰다.
경남지구 병사사령부와 국방부, 육군본부를 수없이 찾아가고 민원을 제기했지만 가는 곳마다 책임을 미루기만 했다. 나중에는 “매·화장의 경우 무덤이 없다”면서 매일같이 찾아오는 애끓는 호소를 마치 ‘미친 짓’으로 여기는 꼴이었다.
서 본부장이 이 같은 사연을 듣고 분개하여 만사를 제쳐놓고 이를 기어코 바로 잡겠노라고 나선 것이다.
수소문 끝에 부산 오륙도 가까이 용호동에 6.25 당시 문서보관소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현장으로 달려갔다. 옛 일본군 해안포대 자리에 각종 문서들이 말짱하게 보관되어 김수택 용사 관련 병상일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 확인에 동행한 유가족들이 통곡을 했다. 서 본부장 일행도 함께 눈물을 쏟았다. 16세 소년으로 징집되어 정확한 생사도 모른 채 43년 세월이 흘렀으니 유가족들의 비통이야 말할 수 없었던 것이다.

관련자료 수집 분석과정 군당국 비협조 사연

서 본부장이 전역 후 무연고 병사자 처리문제를 들고 나오자 군 당국에서는 불편한 기색을 내보였다고 한다. 군 당국은 6.25 참전 용사들인데도 단순 병사나 일반사망자로 처리했다는 사실이 드러날 경우 국민적 비난을 우려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서 본부장이 광범위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 군 당국은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며 “군사기밀보호법에 저촉되지 않느냐”는 지적을 하기도 했다. 심지어 서 본부장이 전역 후에 위촉된 군사연구위원 해촉을 법무관에 지시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서 본부장이 1995년 4월 대령연합회를 창립한 후 친북좌익척결운동을 벌이기 시작하면서 회원들 다수가 무연고 병사처리 명예회복운동에 동참한 점도 군 당국은 못마땅하게 여긴 모양이다. 이 무렵에 결성된 대령연합회가 주축이 된 국민행동 친북좌익 척결본부는 뒤에 ‘국민행동본부’(National Action Campaign)으로 개칭 오늘에 이른다.
국민행동본부는 김대중, 김정일의 6.15 공동선언에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방안’이 담겨 나오자 이를 적화통일 음모라고 지적하고 “국민의 정부는 더 이상 국민을 우롱하지 말고 정체성을 밝히라”는 성명을 발표함으로써 구국 보수우파 행동대의 위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6.15 공동선언 반대성명 직후 전우신문 편집국장이 성명 전문을 5단통 무료 광고로 게재하겠다고 제의하여 2001년 1월 16일자에 실어 보도했다. 그 뒤 월간조선 조갑제 편집장이 우종창 기자를 보내 서정갑 본부장을 인터뷰하여 월간조선 3월호에 국민행동본부 활동을 자세히 보도함으로써 전 국민의 주목을 받았다.
이때 정권 차원에서 대령연합회와 국민행동본부의 활동상이 눈에 거슬려 육군참모총장실이 인사국 차장에게 단체 해체방안을 검토토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담당 장군이 인사상 불이익을 각오하고 “예비역단체의 해체는 사회적 물의를 빚을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신의 장군은 그 뒤 승진하여 군단장을 역임하고 3성 장군으로 전역하여 지금도 서 본부장과 친분을 나누고 있노라고 한다.

종북 척결위한 용맹행동 국민뇌리 각인

서 본부장의 국민행동본부가 대한민국 정통성과 정체성 수호를 위해 용맹하게 전진해온 사실은 대다수 국민의 뇌리에 각인되어 있다.
지난 2001년부터 금년 5월까지 국민행동본부가 종북 좌파와 투쟁해 온 과정은 신문광고를 통한 강력한 의견표시 476건, 광고횟수 895회, 각종 아스팔트 시위와 집회주도 251회에 동원인원 242만 명으로 잘 설명된다. 또 서 본부장 자신과 전문 강사들이 출연한 국내외 안보특강도 헤아리기 어려울 만큼 되풀이 했다. 국민행동본부는 북핵에 대응한 자위적 핵무장론을 제기하기 위해 지난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핵안보국민전선’ 출범대회를 갖고 ‘핵 없는 대한민국, 북한의 노예 된다’는 강연회를 가졌다.
지금껏 국민행동본부는 종북 좌파들의 국가보안법 폐지 주장이나 맥아더 장군 동상 허물기 현장 등에는 즉각 출동한 장면을 여러 차례 보여주었다. 또한 통진당 해산운동, 노무현 NLL 포기음모 폭로, 채동욱 검찰총장 퇴진운동, 좌편향 국사교과서 비판, 한미연합사 해체반대 및 자위적 핵무장론 제기, 노무현 비자금 13억 돈상자(노정연 돈?) 수사의뢰 촉구 등등 정치적 사회적으로 민감한 사안마다 주저 없이 앞장서서 국민여론을 결집시킨 성과는 대다수 국민이 기억하고 있다.
이 같은 국민행동을 통해 서 본부장은 여러 차례 고소 고발을 겪고 수사와 재판을 받기도 했지만 끝까지 당당하고 떳떳하게 대응해 왔다. 종북 좌파에서는 서 본부장을 수구꼴통이라 비판하지만 그는 조국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한 국민행동에 그들의 비판쯤이야 상관없는 일이라고 치부한다.
다만 북의 김정은 폭정이 갈수록 위태로운 핵놀음으로 치닫고 있는 꼴이 우려스럽다고 지적하며 유엔 안보리의 강력 대북제재 조치에도 핵과 경제 병행노선을 고집하고 있으니 정치권이 대북정책을 비롯한 국가안보에 관한한 여야가 따로 없이 한 목소리를 내야만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6.25 참전용사 가운데 단순 병사자로 처리한 1,613명의 명예회복은 이뤄졌지만 아직도 유가족들을 찾아주지 못한 무연고 전사자들이 많아 역부족임을 한탄하고 있는 심정이다.

[본 기사는 월간 경제풍월 제203호 (2016년 7월호) 기사입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