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축재, 정경유착 등 반재벌 정서 원죄
산업보국, 수출입국 ‘한강의 기적’ 공헌

경제개발 ‘시동·원동력’
전경련 55년의 명암
부정축재, 정경유착 등 반재벌 정서 원죄
산업보국, 수출입국 ‘한강의 기적’ 공헌

▲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 FKI타원. <사진=경제풍월>

재계의 총본산으로 불려온 전경련의 55년사는 ‘한강의 기적’을 창출한 시동력(始動力)과 원동력(原動力)의 중심기구로서 큰 역할을 담당해 왔다. 전경련은 창립기의 정치, 사회 변혁과의 대립과 마찰요인으로 태생적 한계가 있었지만 역대정권의 경제개발 시책에 기여하고 정치발전에도 일정 몫의 직간접 역할을 맡으면서 시장경제 원칙과 기업가정신 계승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

존경, 추앙 못 받는 국가유공자 얼굴들

전경련의 창립 멤버에서부터 오늘날까지 전경련을 이끌어 온 회장단의 얼굴들은 한국의 기업사와 기업인들의 상징이자 모두가 국가유공자 반열로 국가와 국민으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아야 마땅하다고 볼 수 있다.
창립기의 발기인들과 회장단은 망국시절의 식민통치를 겪은 울분으로 산업보국(産業報國)의 충정에다 경제제일, 수출입국의 일념으로 전경련이 국가경제 발전의 중심기구 역할을 다하겠다는 집념을 보였다. 또 관주도형 경제개발기를 지나 민간주도형 시장경제 발전기의 전경련 회장단은 재계 내부의 이해충돌을 조정하며 정치와 사회와 소통하고 공정경쟁, 정도경영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구현에 골몰하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해 왔다.
그렇지만 최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기업과 기업인에 대한 호감도를 조사하면 100점 만점기준 40점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국가유공자로서 존경 받고 추앙 받는 공인 모델이 없이 언론이나 단체 등이 마련한 ‘한국의 존경받는 기업인상’, ‘자랑스런 CEO 대상’ 등이 있을 뿐이다.
아마도 전경련이 4.19 학생혁명, 5.16 군사혁명 과정에 탄생하여 부정축재 혐의, 정치자금 모금 등 시대적 원죄를 안고 있고 민주화 이후에는 글로벌 무한경쟁 시대에 정치와 사회의 규제와 간섭에 반발하는 반칙, 편법, 불법에 대한 징벌적 평판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민간 경제단체로서 한국경제 발전사의 한 축으로 큰 역할을 맡아온 55년사의 족적은 결코 지워질 수 없다고 믿는다.

초대 이병철, 장수 김용완, 4통8달 정주영

▲ 전경련 초대회장 이병철 삼성그릅 창업회장과 5대를 중임한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

전경련의 초대회장 이병철(李秉喆) 삼성그룹 창업회장은 5.16 직후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 유력 기업인으로 박정희(朴正熙) 최고회의 측과 상대할 수 있는 맞수 격으로 추대됐다. 그러나 재계 내부에서 너무 독주한다는 견제로 1년 단임으로 물러났다.
이정림(李庭林) 2~3대 회장은 부정축재 단죄 분위기 속에 경제를 잘 모르는 국가재건 최고회의 측과 접촉하여 설득하고 협력하며 경제제일주의, 수출제일주의 정신을 국가경영에 접목시켜준 역할을 수행했다.
경방의 김용완(金容完) 회장은 4~5대(1964~1966) 및 9~12대(1969~1977)까지 무려 6대를 중임하면서 온건, 화합, 냉철한 논리로 내부의 이견을 조정하고 최고 권력자에게 정부 주도식 경제개발 정책의 부작용과 시장질서 왜곡을 직소할 수 있는 친화력을 발휘했다. 현대그룹 정주영(鄭周永) 회장은 1977년부터 5대를 중임하면서 박정희, 전두환(全斗煥) 대통령 시대의 고도성장 주역으로 4통8달식의 전폭적인 역할로 전경련의 위상을 과시했다.
정주영 회장 다음에는 회장직을 사양, 기피하는 추세로 바뀌었다. LG그룹 구자경(具滋暻) 회장은 정주영 회장이 ‘다음 차례’라며 권유하자 단 2년 단임 조건으로 수학했지만 그 뒤 SK그룹 최종현(崔鍾賢) 회장의 3대 연임, 대우그룹 김우중(金宇中) 회장의 2대 연임 도중 하차이후 상위재벌 오너회장 시절이 사실상 마감되고 말았다.

▲ 전경련 회장 6대를 중임한 경방 김용완 회장과 전경련 40년사를 발간한 김각중 경방 명예회장.

김우중 회장이 당시 정치상황과 맞물려 불명예 퇴진한 후 김각중(金珏中) 경방 명예회장을 어렵게 추대했지만 후임이 나서지 않았다. 이때 삼성그룹 이건희(李健熙) 회장 등이 권유하여 SK그룹 손길승(孫吉丞) 회장이 비오너 전문경영인으로 전경련 회장을 맡아야만 했다. 이보다 앞서 전문경영인 회장으로는 1989년 유창순(劉彰順) 롯데제과 회장이 신격호(辛格浩) 롯데그룹 회장을 대신하여 회장직을 맡은바 있었다.
손길승 회장 다음에는 중견그룹인 동아제약 강신호(姜信浩) 회장이 ‘억지춘향’의 심정으로 회장을 맡았고 후임 효성 조석래(趙錫來) 회장도 건강상의 이유로 임기 중에 사임했다. 현 허창수(許昌秀) GS그룹 회장의 경우는 LG 구본무(具本茂) 회장에게 쏠린 ‘다음 차례’를 대신 맡은 성격이다. GS그룹은 LG와의 동업분리로 발족하여 재계순위 중간 반열이었지만 “LG 분가 측에서 대신 맡는 것이 순리가 아니냐”는 권고로 수락하여 연임 중에 있다.

상위재벌 오너회장 고사로 회장선임 수난

상위재벌 오너들이 전경련 회비를 가장 많이 분담하면서 회장감투를 사양하고 기피하는 것은 ‘자업자득’의 측면이 있고 정치, 사회의 변혁과 관련되는 측면도 있다고 보여진다.
전경련 회장직은 명예직으로 바쁜 일정을 소화해야 하는 ‘잘해야 본전’이라는 지적이 있지만 관주도 경제개발기에는 재계의 총리격으로 예우됐다. 또 민주화 이후 정권교체가 잦은 최근에도 청와대 회동이나 대통령의 해외순방시 경제사절단 대표의 얼굴로 동행하는 위치다.
지난 2001년 8월에 간행된 전경련 40년사 속에 역대회장 선출이나 추대의 수난사가 일부 드러나 있다. 김각중 회장은 40년사 발간사를 통해 전경련의 창립 수원(水源)은 맑고 깨끗했다고 강조했다. 기존 사농공상(士農工商) 인식을 타파하고 경제구국(經濟救國)의 대의(大義)로 전경련이 창립되어 정치로부터 자율과 시장경제 및 자유기업의 창달을 목적한 것이 초심이었노라고 밝혔다.

▲ 제1회 임시총회(1961.8.16)
▲ 김용완 회장과 맥나마라 세계은행 총재(1962.5.15)
▲ 제3회 한일 합동 경제간담회(1968.2.12)
▲ 인도대통령과 환담하는 경협사절단 정주영 단장(1979.4.3)

전경련 창립 초심은 분명 ‘경제구국’이었지만 4대째부터 회장 추대가 지극히 어려워진 것이 바로 전경련의 태생적 제약요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경방 김용완 회장이 고사를 거듭하면서 6대나 중임했던 사실이 전경련 회장직이 겪어야만 했던 고뇌와 번민의 실상을 잘 말해준다.
역대회장 가운데 정주영 회장이 타고난 성품대로 ‘큰손’ ‘왕회장’ 식으로 전경련을 이끌어 낸 것은 독보적이라고 평판된다. 그러나 정 회장 이후가 문제였다. 후임 LG 구자경 회장은 정 회장을 비롯한 원로들의 강권으로 취임했지만 2년 단임기간 내내 ‘가시방석’이었다고 회고한 바 있다. 산업현장의 민주화 바람에 쫓기고 흔들리면서 자율경영원칙과 정도경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다가 퇴임 후에는 조기 경영은퇴 하여 평택 연암농장으로 귀농하고 말았다.
1989년 유창순 롯데제과 회장은 한은총재, 상공부장관, 경제기획원장관, 국무총리 등 화려한 경력을 안고 비오너 전경련 회장을 맡았다. 전임 구자경 회장의 강력 추천과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의 권유로 수락했다. 당시 유창순 회장은 자신 대신에 삼양그룹 김상홍(金相鴻) 회장을 추천했지만 동생 김상하(金相廈) 회장이 대한상의 회장을 맡고 있으니 “형제가 경제단체장을 맡는 법이 없다”는 논리로 고사했다.
유창순 회장은 어쩔 수없이 수락하면서 관료시절 신뢰관계를 쌓은 최창낙(崔昌洛) 씨를 상근 부회장 겸 사무국장으로 영입했다.

4.19후 부정축재처리 분위기 속 ‘한국경제협의회’

전경련의 모태는 4.19 직후, 1961년 1월에 발족한 ‘한국경제협의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송대순(宋大淳) 대한상의 회장, 김용완 경방회장, 전택보(全澤珤) 천우사 사장, 이한원(李漢垣) 대한제분 사장, 최태섭(崔泰涉) 한국유리 사장, 심상준(沈相俊) 제동산업 사장, 김항복(金恒福) 평안섬유 사장 등 11명이 발기 했다.
당시 자유당 정부를 거쳐온 기업인들 대다수는 민주당 정부의 부정축재 단죄방침에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법과 제도가 미비하여 인정과세(認定課稅)라는 ‘벌칙성 중과세’에 몰려 “법대로 하자면 살아남을 기업이 하나도 없다”고 하소연하며 자유당 시절을 보냈었다.
한국경제협의회는 창립 회장으로 삼양사 수당(秀堂) 김연수(金秊洙) 회장을 만장일치로 추대했지만 한사코 취임을 거부했다. 협의회는 “인촌(仁村) 김성수(金性洙) 가문의 ‘공선후사’(公先後私) 정신을 발휘해야 할 때”라고 설득했지만 요지부동이었다. 아마 수당 자신마저 부정축재 혐의를 받을 수 있다고 판단했는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자택을 방문하여 거듭거듭 간청한 ‘삼고초려’ 끝에 겨우 승낙을 받았다.
협의회 창립일에는 장면(張勉) 총리가 참석하여 경제건설에 적극 협력할 것을 당부하고 한국경제정책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유솜(USOM) 처장도 참석, 축사했다.
한국경제협의회는 장면 총리 집무실이 있는 반도호텔(현 롯데호텔자리) 622호에 사무국을 설치하고 신정부 경제시책에 적극 호응하는 활동을 개시했다.
김연수 회장은 일제하에 창업, 경영했던 체험을 바탕으로 “나라가 있어야 기업이 있는 법”이라고 강조하며 장면 정권의 시국안정 시책을 적극 지원하려는 자세를 보여줬다.
한국경제협의회는 이를 위해 기간산업 건설, 고용증대, 재정금융, 농산어촌부흥, 국제경제협력 등 5기 위원회를 설치하고 경제각료들과 합동회의를 통해 경제개발 5개년 계획수립, 한일 국교 정상화 등 큰 정책을 건의했다. 또 태백산 종합개발계획, 함백탄광지대 관통 철도건설 등 실행 계획도 제시했다. 시국안정 차원에서는 ‘절량농가’(絶糧農家) 구호대책으로 갹출요강을 만들어 모금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5.16후 ‘자립경제’표방, 경제인협회 발족

경제계가 시국안정을 기대할 무렵 부정축재처리법안이 국회에 상정되자 한국경제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반대 목소리를 내어 파란이 일어났다. 한국경제협의회가 대한상의, 무역협회, 건설협회, 방직협회 등과 공동명의로 “부정축재처리법 제정은 자유경제 체제의 존망과도 관련된다”는 반대 성명서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당시 정치와 사회상황은 이 같은 반대 성명을 수용할 분위기가 아니었다. 그러나 한국경제협의회와 장면정부 각료와의 끈질긴 협상 등으로 부정축재처리법안은 대폭 수정 통과됐다. 이 법에 따른 피의자 수가 당초 수만 명에서 수백 명으로 줄고 대상 기업도 72개사로 축소 조정된 것이다.
장면정부는 4.19 학생의거로 탄생했지만 다시 학생데모로 조기 붕괴되고 말았다. 경제계가 시국안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나섰지만 ‘4월 위기설’ 등 끊임없는 위기설 속에 5.16 군사 쿠데타로 장정권이 무너지자 한국경제협의회마저 해체될 운명을 맞았다.
군사정부의 포고령에 따라 미등록 법인인 한국경제협의회가 장정권 지원을 위해 모금한 시국안정기금과 절량농가 구호금 등도 문제가 됐다. 이에 따라 기업대표 10여 명이 구속되자 김연수 회장, 전택보 부회장 등이 사임하여 협의회 기능이 자동으로 정지되고 말았다.
곧이어 5.16정부가 새로운 부정축재처리법을 제정하여 많은 기업인들이 부정축재혐의로 마포형무소에 구금되고 삼성 이병철 회장은 도쿄에 체류하면서 귀국을 거부했다. 이때 박정희 최고회의 부의장이 김용완, 전택보 등 기업인들과 은밀히 접촉하고 이병철 회장의 귀국을 종용하여 구속된 기업인들을 전원 석방하면서 국가기간산업 건설에 헌신할 것을 당부했다.
이에 경제계는 1961년 7월 17일, 새로운 경제단체로 ‘한국경제 재건촉진회’를 구성했다가 한달만에 ‘한국경제인협회’로 개칭했으니 곧 전경련의 모체다. 초대회장 이병철, 부회장 조성철(趙性喆, 중앙산업 사장), 이사진은 박흥식(朴興植) 화신산업 사장, 이정림 대한유화 사장, 설경동(薛卿東) 대한전선 사장, 이한원 대한제분 사장, 최태섭 한국유리 사장, 이양구(李洋球) 동양시멘트 사장, 정재호(鄭載頀) 삼호방직 사장, 홍재선(洪在善) 쌍용양회 회장, 남궁련(南宮鍊) 극동해운 사장, 감사 김지태(金智泰) 한국생사 사장 등.
경제인협회는 창립 성명서를 통해 “일본의 게이단련(經團連)이나 영국의 산업총연합회 등은 직간접으로 정부의 영향과 권유를 받았지만 한국경제인협회는 기업인들의 자율로 발족한 순수 민간단체”라고 선언했다. 경제인협회가 전국경제인연합회로 개칭한 것은 1968년 3월 28일로 김용완 장수회장 시기였다.
이 무렵 전경련은 업종별 단체 40여개, 금융기관과 국책회사 및 일반기업, 해외 교포기업 등을 포함하여 회원수가 160여 명에 달해 ‘전국경제인연합회’라고 호칭할 수 있었다.
이날 전경련은 ‘자립경제’, ‘국민생활안정’,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올바른 기업풍토’ 및 ‘기업인에 대한 명예존중 희구’ 등을 선언문으로 채택하여 오늘에 이른다.

비상근회장 아래 사무국장, 상근부회장 체제

전경련은 창업 이래 회장은 무보수, 비상근 명예직으로 회원과 조직활동은 사무국장, 상근부회장 체제로 운영되어 왔다. 초대 사무국장 상근부회장 김주인(金周仁)씨 이래 김입삼(金立三), 진학문(秦學文), 김상영(金尙榮)씨 등을 거쳐 윤태엽(尹泰葉), 노인환(盧仁煥), 신봉식(申奉植), 최창낙, 조규하(曺圭河), 황정현(黃正賢), 손병두(孫炳斗)씨 등 이코노미스트, 관료, 언론인 출신 등으로 모두가 명사급이다. 현재의 이승철 상근부회장은 내부 출신으로 박식한 경제이론에 추진력을 갖춘 인물로 평판되어 왔다.
역대 상근부회장 가운데 많은 진기록과 화제를 남긴 분이 김용완 회장 시절의 진학문(秦學文) 부회장이다. 김용완 회장은 제4대 회장으로 추대됐지만 완강히 취임을 거부하여 난감한 사태가 빚어졌다. 이때 70대 고령으로 인촌 김성수, 수당 김연수 등과 술과 풍류로 교우해온 진학문 부회장이 최두선(崔斗善) 국무총리 초청 아이디어로 김용완 회장의 취임 승낙을 받아냈다.
진학문 부회장은 최두선 총리의 백형 육당 최남선(崔南善)과 친분이 두터운 사이로 최 총리의 전경련 방문을 주선할 수 있었다. 반면에 김용완 회장은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 총리지명을 받고 완강히 거부하는 최두선 당시 경방회장을 설득하여 총리 취임을 수락토록 했었다. 이처럼 서로 연계된 깊은 연고 때문에 상호 취임승낙을 주고받아 김용완 회장시대가 열린 셈이다.
김용완 회장은 취임하면서 모든 전경련의 조직 운영은 진학문 부회장이 전담하고 자신은 문서결재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었다.
전경련 조사부장과 상무이사를 역임한 윤능선(尹能善)씨의 ‘경제단체 40년 인생’(1997년, 삶과 꿈)에 따르면 진학문 부회장은 보성중, 와세다대 영문과, 동경외대 러시아어과를 나온 수재로 언론인과 문필가로 명성을 날렸다. 그는 1920년 동아일보가 창간될 때 춘원 이광수(李光洙)와 함께 입사하여 정경부장으로 필명도 날렸다. 그러다가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국무원 장관벼슬을 맡아 친일 낙인이 찍혀 8.15 후 해외 유랑 망명생활하다 말년에야 전경련 상근부회장으로 영입됐다.
진 부회장은 1974년 80세로 별세하기 직전에 자신이 재직했던 동아일보 부음(訃音)란에 실어달라면서 손수 부고장을 만들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동안 총애 많이 받고 적지 아니한 폐 끼치고 나는 오늘 먼저 갑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라는 요지다.
전경련 55년을 대강 짚어보면 ‘한강의 기적’을 이룩한 큰 업적에다 정경유착, 반칙경제 등 숱한 허물로 명암이 교차된다.

[본 기사는 월간 경제풍월 제207호 (2016년 11월호) 기사입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