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교역·투자 활성화 전망분석
자동차, 제약, 농축산, 화장품 등 유망

수단, 아프리카 3대 시장
미국제재 20년 해제
KOTRA, 교역·투자 활성화 전망분석
자동차, 제약, 농축산, 화장품 등 유망

[안경하 기자 @이코노미톡뉴스(이톡뉴스)] KOTRA는 미 국무부가 수단에 부과해온 경제제재(sanction) 조치를 20년 만에 전격 해제함으로써 우리기업들의 발 빠른 진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KOTRA는 인구 4천만 명의 수단 시장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3대 시장이라고 분석했다.

▲ 아프리카 남수단 톤즈 지역 아이들이 여름 ‘희망고 캠페인’을 통해 심어진 망고나무 묘목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LG생건>
북한 외교적 고립목적도 작용

미국은 1997년부터 테러지원, 인권유린, 종교박해 등을 이유로 수단에 대해 무역, 금융거래 등을 금지하고 자산을 동결시킨 경제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그러나 최근 수단 정부의 분쟁지역에서 적대행위 중단, 인권개선, 테러와의 전쟁, 지역분쟁 해결을 위한 미국과의 협력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 지난 12일부로 경제제재를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제재 해제조치에도 불구하고 수단은 이란, 시리아와 함께 테러지원국 3개국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무기류 수출 등은 금지된다. 또 이번 제재조치 해제는 북한을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한 목적도 작용했다고 분석한다. 수단은 이보다 앞서 북한과 외교관계를 단절한바 있다. 아울러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사우디, 이스라엘 등이 수단에 대한 제재조치 해제를 요청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관측이다.
수단은 인구 4천만 명, GDP 956억 달러로 나이지리아, 남아공에 이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3대 시장으로 꼽힌다. 또 국토면적 189만㎢로 세계 15위에 중동과 아프리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외화송금가능, 교역활성화 전망

제재해제로 수단은 단기적으로는 금융, 외환거래 제한 완화에 따른 수출입 및 경기 활성화,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투자, 인프라 프로젝트 개발 확대가 기대된다. 그동안 수단은 극심한 외환 부족, 물가상승, 자국 화폐가치 하락의 어려움을 겪어 왔다.

금융기관을 통한 외화송금이 가능해지면 거래비용 및 시간 절감, 편의성 증진으로 교역활성화가 기대된다. 그동안 미국 은행을 거치는 달러화 송금(in&out)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가능해 두바이 등 제3국에 결제 협력사를 보유한 수단 기업만 제품 수입이 가능했다.

환율과 물가안정도 교역활성화에 한 몫 할 것으로 예상된다. KOTRA가 관리하는 수단의 주요 바이어는 지난 수개월간 달러대비 현지화 가치 하락과 물가상승(2017년 30% 추정, EIU)으로 제품 수입을 보류한 경우가 다수였다. 일부 바이어들은 구매계약을 체결하고도 대금 결제를 미뤄 우리기업이 곤란을 겪기도 했다. 제재 해제로 외환거래가 자유화되면 달러화 대비 현지화 가치 하락세가 진정될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예상이며, 제재해제 기대감을 반영해 최근 달러 대비 현지화 환율이 반등하기도 했다.

투자제한 풀리면 기업진출 유망

투자 관련, 수단시장의 잠재력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재로 인해 투자 보류, 철수했던 해외 기업들이 유망분야를 중심으로 투자확대가 예상된다. 또한 수단 정부가 재정압박에서 벗어나고 다자개발은행(MDB)의 투자 제한이 풀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항, 도로, 교량, 수자원, 에너지 분야 등 인프라 투자 활성화도 기대된다. 그동안 수단 내 인프라 개발은 중국, 일부 아랍국 차관에 의존해 왔으나 최근 저유가 등의 영향으로 이마저도 부족한 상태였다.

신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단 시장을 우리기업이 선점하기 위해서는 정부정책과 현지 시장상황을 고려한 유망분야 공략이 급선무다. 수단 정부는 2011년 남수단 독립과 저유가로 어려움에 빠진 이후 제조업 육성, 외국인투자유치를 골자로 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15~2019)을 시행중이다. 현재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건설중장비 및 자동차부품, 승용차, 화물자동차, 배터리 등 자동차관련 품목과 원활한 교역 환경 조성에 따른 소비재 및 경제개발을 위한 기자재 분야 수요 증가 전망에 따른 제약, 의료기기, 농축산 관련 기계장비, 비료, 화장품 등이 진출 유망분야로 꼽힌다. 

다만, 거시적으로는 전체 매장량의 75%를 차지한 남수단 독립 이후 원유 수출 감소의 타격을 경제구조 개편으로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다는 점, 미시적으로는 인터넷, 통계자료의 미발달로 반드시 현지 출장을 통해 바이어의 거래 역량을 확인하는 등 현지시장 상황을 세밀히 검토해야 한다는 점 등은 주의를 요한다.

임성주 KOTRA 카르툼무역관장은 “과거 대우그룹이 수단시장의 가치를 주목, 대규모 투자로 제약, 호텔, 금융, 섬유, 타이어 제조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는 등 수단시장은 우리 기업에 낯설지 않다”면서 “자동차(시장점유율 60%대), 가전, 휴대폰(시장점유율 1~2위) 등 주력 제품이 선전하고 있고, 최근 전파된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및 한국 기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점을 십분 활용해 신시장 진출을 원하는 중소·중견기업도 적극적인 관심을 바란다”고 밝혔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