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성향 뉴스 전면부각, 견제장치 필요

온라인포털의 역기능
여론 호도 우려스럽다
특정 성향 뉴스 전면부각, 견제장치 필요
▲ 온라인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의 프런트 페이지 레이아웃. <사진@경제풍월DB>

[안영주(시스템 엔지니어, 28세) @경제풍월] 포털 사이트는 인터넷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정보로의 접근을 쉽게 해주는 관문이다.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면 제한된 시간에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가장 빨리 찾을 수 있다. 

단순한 검색기능 뿐만이 아니다. 전자메일부터 블로그와 카페를 비롯한 커뮤니티 서비스, 게임과 각종 사전기능 및 뉴스까지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들이 원하는 거의 모든 기능이 집합되어 있다. 이렇게 한 곳에서 원하는 정보를 가장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었던 편리한 매체가 인류 역사상 있었던가 싶다.

하지만 이러한 포털 사이트가 항상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는 대신, 보고 싶지 않은 정보도 함께 봐야 하기 때문이다. 정보를 수집, 가공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용비용은 포털 사이트의 이용자들이 부담하는 것이 아니다. 가장 큰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수익원은 광고인데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이용자를 포털 사이트 안에서 오랫동안 머무르게 해야 한다. 

부작용은 여기서 시작된다. 콘텐트의 유익성, 건전성과는 관계없이 이용자의 클릭을 최대한 유도하기 위해 갖가지 선정적인 문구 및 뉴스, 자극적인 이미지를 사용한다. 물론 이들의 배치 또한 가장 시선을 끌기 쉬운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쉽게 클릭을 하게 되고 본래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했던 목적을 잊어버린 채 더욱더 많은 자극적인 정보를 접하며 계속 방황하게 된다. 

문제는 우리가 포털 사이트를 이용할 때마다 끊임없이 이러한 정보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것이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의 경우에는 더욱 위험하다. 가치관을 형성해야 할 시기에 수년 동안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러한 자극적인 정보에 노출이 된다면 세상에 대하여 올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 되고 있는 악플러 문제도 이 영향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두 번째 경계해야 할 점은 포털 사이트의 가공할만한 여론 장악력이다. 2006년 미국 인터넷 기업인 ‘콤스코어 월드 메트릭스’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접속자는 2천464만 명이라고 한다. 낮게 잡아도 인구의 절반이나 된다. 글을 읽을 수 있고 컴퓨터를 할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하며 정보를 얻기 위해 온라인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포털이 여론을 호도할 수 있다는 우려는 이렇게 많은 이용자들에게 단순하게 정보를 중계하는 수준에서 머무르지 않는다는 데서 나온다. 정보의 재가공 및 배열, 편집이 문제인 것이다. 포털은 표면적으로는 다양한 성향의 뉴스를 한곳에 보여주고 이는 이용자들에게 포털이 객관적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주지만 뉴스의 순서와 화면 레이아웃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서 이용자의 클릭 수는 달라진다. 

긴 제목을 간추리기 위해 어떻게 편집하고 어떤 약어를 쓰느냐에 따라서 이용자 클릭수 역시 급변한다. 가령 대선후보 관련정보를 찾기 위해 포털을 찾을 경우 특정 방향의 뉴스나 정보로의 접근을 그 반대의 의견보다 더 잘 눈에 띄고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 놓는 다면 이용자가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검색하지 않는 이상 한쪽 성향의 정보만을 편중되게 얻게 됨은 자명하다. 

▲ 안영주(시스템 엔지니어, 28세)

항간에는 “2007년 대선은 온라인포털을 장악하는 자가 승리한다”는 소문이 돈다. 온라인 포털의 힘이 막강하여 대선에 승리하기 위해서는 포털과의 협력이 필수라는 이야기다. 

한나라당이 2002년 대선 패배의 원인을 온라인 매체에 대한 과소평가에서 찾았고 현 정권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힘을 얻었다는 것은 온 국민이 공감하는 사실이다. 대선이 가까워지고 있는 이 시점,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객관적일 수 없는 포털 사이트의 영향은 앞으로 더욱 커질 듯하다. 

역사적으로 매체와 권력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이제라도 우리는 제 4의 권력이 되어버린 포털 사이트의 영향력을 견제할 사회적 장치를 미리 마련해야 한다. 네티즌의 자정기능에만 이를 맡기기에는 우리의 사회적 감시시스템이 너무 취약하지 않은지 묻고 싶다. 

[본 기사는 월간 경제풍월 제90호(2007년 3월호) 기사입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