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권(전 세계문인협회 부이사장, 수필가) @이코노미톡뉴스] 옛날 호(胡)나라 국경 가까이에 점을 잘 치는 한 노인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집에서 기르던 말(馬)이 호나라 땅으로 도망가 버렸다.(그 시대 말이 유일한 교통수단이었는데) 광활한 땅에서 말없이는 꼼짝도 할 수 없게 되었다. 이웃들은 큰 걱정을 하며, 노인을 찾아 위로했다. 노인은 태연하게 말했다.

“이것이 또 복이 될지도 모르지요.” 과연 노인의 말대로 도망친 말이 몇 달이 지난 후에 호나라에서 튼튼하고 좋은 말을 데리고 돌아왔다. 그 소식을 듣고 이웃 사람들이 몰려와서 모두 다행이라고 축하해 주었다. 노인은 이번에는 이렇게 답했다.

“아니지요, 이것이 화(禍)가 될지 누가 알겠소.”

노인은 별로 좋아하는 기색이 없었다. 노인의 말은 새끼를 낳고, 그것이 불어나 큰 부자가 되었다.

그런데 말 타기를 좋아하는 아들이 말에서 떨어져 크게 다쳤다. 상처가 심해 결국 절름발이가 돼 버렸다. 이웃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모두 애석해 하며 위로했다. 그러나 노인은 별로 놀라지 않고 태연하게 이렇게 말했다.

“아니오, 이게 오히려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얼마 후 초(楚)나라 군사가 쳐들어 왔다. 전쟁이 났다. 마을의 젊은이들이 총동원되어 이들과 맞서 싸웠으나, 10명중 9명은 모두 전사했다. 노인의 아들은 절름발이었기에 전쟁에 나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부자(父子)가 함께 무사했다. 그렇게 난리를 피한 것이다.

이것은 「회남자(淮南子)에 있는 얘기인데 “화복(禍福)이란 헝클어진 밧줄과 같다.”는 말과 통한다.

인간의 길흉화복이란 단적으로 말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본래 뜻은 우연이라고 생각되는 것도, 실은 인간 스스로가 불러들이는 것이라는 점에 있지 않나 한다.

다음 좌전(左傳) 이야기는 좋은 교훈이 된다. (신호웅 교수/역사단상인용)

화복무문(禍福無門) 유인소초(惟人所招)

“화와 복이 오는 문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오직 사람이 스스로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

“인생사, 새옹지마(塞翁之馬)” 세상의 좋고 나쁨을 예측할 수 없다는 말로 많이 쓰는 이 말은 “변방 노인의 말(馬)”을 말한다. 세상의 길흉화복은 예측할 수 없다는 뜻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개인이든, 국가든 미래는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흥망성쇠의 길은 스스로가 또는 국민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 노력 없이 개인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낼 수 있을까?

운이란, 스스로가 만들어 내는 것이다.

세계사를 들여다보면, 한 국가의 흥망성쇠도 그 민족들의 역량이고 노력이며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수준이다. 거저 얻어지는 것은 없다.

맑고, 투명한 시선으로 미래를 응시하면, 개인이나, 국가의 길이, 미래가 보인다. 시대 상황을 판단하는 시각은 다양하다. 국정 운영의 문제나, 사회적인 문제를 평가하는 각기 다른 의견들은 사회가 건강하다는 증거일 수도 있다. 정치적인 견해를 달리하는 사람들 사이의 간극이, 그 골이 깊다는 것은 우려스럽기 까지 한 게 오늘의 우리 현실이다.

세계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우린 허구한 날, 낡은 프레임에 갇혀 짜증나는 포퓰리즘에서 헤어나질 못하고 있다. 이 시대는 4차 산업의 혁명 시대에 돌입했고, 초 디지털 시대의 초입이다. 미래 산업의 선점이 한 국가의 위상을 좌우하게 될 것이다. 그래, 우리 갈 길은 바쁘다. 5∼60년대 세계 최빈국이었던 우린, 세계 경제 10위권을 일구어낸 대단한 민족이다. 5천년 역사에 이런 풍요의 시대가 언제 있었던가?

▲ 최수권(전 세계문인협회 부이사장, 수필가)

개인의 삶은 국가에 부침하여 영위된다. 그리고 오늘의 역사는 후손들이 평가하게 된다. 섣부른 이념과 자위적인 잣대로 평가해선 안 된다.

휴가차 동해안 일대를 돌아봤다. 피서철인데도, 피서객이 거의 없었다. 도로주변의 음식점들은 폐업한 곳들이 많았다. 알 수 없는 한기가 온몸을 덮쳤다. 괜한 걱정일까?

나에게 다가오는 행운은 본인의 염원과 노력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100년만의 염천에, 금년은 더 짜증나는 여름날이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