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

[김종현 기자 @이코노모톡뉴스] 태양광 설비가 늘어나 오는 2040년에는 폐모듈 8만5220톤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당장 2010년 전후 설치한 설비는 2030년 전후 폐기물로 처리해야 하지만 정부의 대책이 미비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폐기된 사업용과 자가용 태양광 설비용량은 606kW로 확인된다.

태양광 발전의 설계 수명은 20년 상당으로 현재 발생되는 태양광 폐기물은 대부분 2000년 이전 설치분으로 추정된다.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태양광 폐기물 발생량 전망을 살펴보면 국내 누적보급량 기준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신성솔라에너지 25W급의 제원을 적용해 2010년 이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2030년 이후 수명완료 태양광 물량의 급증이 전망된다.

태양광 설비의 설계수명이 일반적으로 20~25년인 것을 감안하면 2010년 전후 설치한 태양광 설비는 2030년 전후 태양광 페기물로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에 따르면 최근 15년간 태양광 발전설비는 매년 두 자리수 증가율로 증가해 2006년 36MW에서 2016년에는 4502MW로 125배 증가했다.

태양광 폐모듈 발생량 전망은 평균 기대소명에 대한 가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오는 2040년에는 7만2168톤(에너지기술연구원 추정치)에서 최대 8만5220톤(산업연구원 추정치)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수명완료 태양광 설비의 일반적인 처리 절차는 유리, 금속, 플라스틱 등 이용 가능한 물질을 분해 재생가능한 물질은 시장에 판매하며 재생불가능 제품은 최종처리(매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물질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시장에 판매가능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2040년까지 태양광 폐모듈이 8만5000여 톤 발생한다는 예측이 있어 정부의 태양광 재활용센터 설립시의 연간 발생 비용과 폐모듈의 사후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마련이 시급하다”며 “태양광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단순매립과 재활용 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분석기간과 폐태양광 발생량에 따라 처리비용과 경제성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