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까지 땅값 3.33% 상승, 거래량은 전년 대비 3.0% 감소
땅값 세종>부산>서울>제주 순으로 많이 올라… 거래량은 지방 중심으로 소폭 줄어

▲ 2018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요약. (자료=국토교통부).

[이호영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올해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이 소비자물가 변동률 보다 높은 상승세를 보였으나 거래량은 지난해 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은 3.33% 상승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 2.92% 보다 0.41%p 상승해 상승률이 높은 수준이라고 26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변동률(1.47%)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시도별로는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했으며 세종이 5.42%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4.51%), 서울(4.30%), 제주(4.08%), 대구(3.54%)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수도권은 3.64%로 서울은 4.30%로 전국 평균 3.33%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경기(3.20%), 인천(2.42%) 지역은 전국 평균 보다 아래였다. 지방은 평균 2.8%로 나타났으며, 세종이 5.42%로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제주, 대구, 광주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도 파주시가 8.14%를 기록하며, 최고 상승률을 보였고 강원 고성군(6.51%), 서울 용산구(6.50%), 부산 해운대구(6.07%), 서울 동작구(6.05%)가 전국 평균보다 두 배 정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울산 동구(2.34%), 전북 군산시(1.02%), 경남 창원성산구(0.39%)는 하락했고, 경남 창원진해구(0.24%), 경남 거제시(0.32%)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이 3.75%로 가장 높았으며, 계획관리(3.30%), 상업(3.16%), 농림(3.16%), 녹지(2.73%), 생산관리(2.7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지가 3.64%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상업용(3.40%), 전(3.14%), 답(3.03%), 임야(2.35%), 공장용지(2.04%) 순으로 이었다. 

올해 3분기(9월)까지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누적 거래량은 약 241만 2000필지, 1550.6㎢로, 서울 면적의 약 2.6배에 해당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 7만 4658필지 대비 3.0% 감소했으며, 2016년 같은 기간 24만 649필지 대비 11.1%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권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전체적으로 증가했으나, 지역경기 침체에 따른 매매거래량 감소로 인해 부산, 울산, 경남 등 지역 중심으로 소폭 감소했다.  

한편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81만1000필지(1428.4㎢)로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다. 

시도별 전년 동기 대비 토지 거래량은 광주(11.4%), 경기(9.7%), 전북(8.1%), 대전(7.7%) 등은 증가했고, 경남(24.0%), 부산(23.1%) 등은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35.8%), 대전(15.8%) 순으로 증가했고, 부산(22.5%), 울산(19.7%), 대구(18.0%) 등은 감소했다. 

용도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공업(3.5%), 농림(1.9%) 순으로 증가했고, 녹지(12.3%), 관리(8.0%), 개발제한구역(7.3%), 상업6.3%), 자연환경보전(6.1%), 주거(4.1%)는 감소했다. 

지목별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공장용지(10.6%)는 증가했고, 전(10.3%), 기타(잡종지 등 5.6%), 답(5.5%), 대지(1.9%), 임야(%1.7) 순으로 감소했다.

건물 용도별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공업용(14.6%), 상업업무용(0.05%)은 증가했고, 나지(10.8%), 기타건물(8.7%), 주거용(0.5%) 순으로 감소했다.

이같이 조산된 지가변동률은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시행령 제17조에 의해 지가 동향 및 거래 상황을 조사해 토지정책 수행 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가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을 지속 확인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