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일 칼럼(글로벌사이버대학교 뇌교육융합학부 겸임교수) @이코노미톡뉴스] 청소년운동의 참의미는 단체활동을 통해 기능을 연마하고 훌륭한 민주시민으로서의 책임의식을 키우며 사회봉사 활동의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

현대사회의 황폐해진 도시문화와 정신세계의 미비로 많은 청소년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개인주의 팽배, 무기력한 청소년, 입시 지옥에서의 청소년 방황 등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할 수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건전한 청소년 육성의 당위성

한 나라의 장래가 청소년의 육성에 달려 있듯이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건전한 청소년을 육성하기 위해 주력해야 한다. 우리 기성세대들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힘과 용기를 불어 넣어 줄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힘이 들더라도 모두 한마음으로 함께 노력하여 청소년들이 자긍심을 갖고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은 물론 활동도 열심히 하면서 웃어른을 잘 섬기는 청소년으로 육성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청소년단체활동 학교에서 지역으로 변화하나”, “청소년단체활동 학교에서 나가서 해라?” 등의 언론보도를 보면서 우리 청소년들의 사회교육은 앞으로 누가 책임져야 하는가에 대해 먹먹한 가슴 헤아릴 수 없었다.

사회적 자본의 확충, 성장잠재력 도모

청소년기에 형성이 필요한 사회적 자본은 사회구성원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네트워크, 상호 호혜적 규범, 사회적 신뢰와 같은 사회조직의 특징과 관련이 깊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회적 자본은 사회구성원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여 사회구조의 효율성을 높여 줌으로써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부정적인 모습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되는 종합적인 사회재화라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협력이 가능한 사회, 질서와 규범, 신뢰가 있는 사회가 발전가능성이 높다고 실증적․논리적으로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은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이미 사회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성인을 위한 새로운 분위기 쇄신의 노력은 상당한 기회비용이 투입되므로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에 속해 있는 계층을 대상으로 성장과정 중에 청소년단체 활동을 적극 장려하여 장래의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을 경주하여 성장잠재력을 도모하는 것은 지극히 현실적으로 실현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래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1985년 이후 UN을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는 기존의 사회발전 논리에 대한 한계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새롭게 요구되는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청소년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장래 사회인으로서 건전한 협력적 사회생활을 영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성장과정 중에 건전한 청소년활동, 청소년 복지증진, 청소년보호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미래의 국가 성장잠재력을 증진시키려는 데 그 의미가 크다.

청소년단체 활동은 성장기에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참여하여 자기주도와 자율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역할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장래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경제적으로 자립에 필요한 사회재화(관계구조)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청소년기에 청소년단체 활동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능동적으로 형성하고 축적․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같은 시기에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참여경험이 없는 계층과 비교해 볼 때 그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청소년단체 활동은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을 보다 능력 있는 시민으로의 성장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협조와 협동의 습관 및 공적 관계성을 고취시킬 수 있고, 민주적인 사회규범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치관을 학습하여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제도적 지원의 청소년NGO활동 제고

더욱이 세계적으로 청소년에 대한 관심이 날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청소년 상과 역할을 시민 의식이 성숙될 때까지 청소년NGO활동은 제도권 속에서 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 필자 안병일 교수

청소년 사회교육 문제를 가볍게 여겨 교원 업무부담 경감이라는 명분아래 아무런 대안 없이 어느 날 갑자기 교문 밖으로 내 보낸다는 것은 국가의 장래를 위해서도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청소년단체는 100여 년간 학교에서 사회교육을 전담해 왔으며, 청소년 기본법 제 28조에는 청소년단체의 역할에 대해 학교교육과 상호보완 할 수 있는 청소년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기량과 품성 함양에 최선의 노력을 하여야 한다. 라 규정하고 있다

청소년단체의 탈 학교화 문제, 지역화 문제는 국가적인 차원의 건전한 청소년 육성 문제로 여건 조성을 하면서 사회적 합의와 연구 과정을 거쳐 점진적으로 접근함이 합리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