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현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삼성전자가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한 이후 3년 동안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비롯해 배당폭을 확대하는 등 남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주주들의 가치를 제고한다는 측면에서 증권가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지만 결국 총수일가의 지분율 상승과 통한 경영권 강화와 자금마련을 위해 수십조의 회사 돈이 동원됐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오해 코스피에서는 상장사 36곳이 9조556억 원을 중간·분기 배당했다. 1위는 삼성전자가 차지해 올해 7조2000억 원의 중간 배당을 실시했다. 지난해 2조9000억 원에 비해 크게 늘렸다.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상장사의 중간 배당액도 2016년 7865억 원에서 지난해 1조7050억 원, 올해는 1조8418억 원까지 늘어났다. 

삼성전자, 포스코, 현대차, 코웨이, SK이노베이션, 한온시스템 등이 예년처럼 배당을 하는 가운데 쌍용양회, 오렌지라이프(구 ING생명), 하나금융지주 등이 지난해에 비해 중간 배당을 크게 늘리며 상승세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모펀드가 대주주인 기업일수록 고배당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간배당을 대폭 늘린 삼성전자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된다. 

삼성전자는 2015년 10월 3개년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한 이후 2017년까지 배당에만 12조 원을 투입했다. 여기에 올해부터 2020년까지 3년 동안 매해 9조6000억 원을 배당한다는 계획도 밝힌 상태다. 

배당은 대주주를 포함해 모든 주주에게 돌아가는 몫이지만 특히 대주주가 최대 수혜자라는 점에서 총수일가를 위한 자금줄 역할을 한 셈이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각을 지속적으로 감행하면서 주주가치 제고를 빌미로 결국 총수일가 지분율을 올리는 효과를 톡톡히 봤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30일 이사회를 열고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 5억3000만여 주를 소각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소각되는 자사주는 보통주 4억4954만2150주(현재 발행주식 7%)와 우선주 1억6100만 주로 시가 기준 22조 원에 달한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지난해 4월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 40조 원 어치를 모두 소각하겠다는 결정을 마무리했다.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식이 줄어들면 주당순이익과 주당순자산 등 주당가치가 상승해 주가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대주주는 지분율이 상승해 경영권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제 대주주인 이재용 부회장 등 총수 일가는 보유 주식에는 변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지분율을 높이는 효과를 봤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2015년 3분기 삼성전자 기준을 3.38%, 이재용 부회장은 0.57%를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사주 매입 후 소작 작업이 마무리된 뒤 지난 9월 30일 기준으로 이건희 회장과 이재용 부회장의 지분율은 각각 3.88%, 0.65%로 상승했다. 특수관계인 지분도 2015년 17.50%에서 2018년 19.76%로 높아졌다.

이번 소각이 마무리되면 총수 일가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자사주 소각은 대주주인 총수 일가의 경영권 강화를 위해서 사용됐다는 점에서 소모비용에 대한 아쉬움을 남긴다.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배당을 통해 지난 3년간 약 60조 원을 사용했다.

이에 대해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보유 자사주를 소각하기보다 이 재원으로 투자를 하면 사회적으로 더 활용도가 높을 텐데 아쉬운 결정이었다”며 “자사주를 소각해 대주주 지분율만 높이는 효과를 봤다”고 지적했다.

또 일각에서는 주식 가치 상승 등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매입하고 소각할 비용으로 신규투자에 나서서 수익률을 올리는 것이 장기적으로 주가 상승에 더 효과적이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가 진행한 인수·합병 중 가능 큰 규모였던 2016년 하만 인수에 쓴 비용은 9조4000억 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두 번에 걸친 자사주 소각 금액의 20% 수준에 불과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