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
사진=연합

[최용선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지난해 8월 이후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발생한 화재 5건의 원인이 배터리에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에 LG화학, 삼성SDI 등 배터리 제조사들이 반박하고 나섰다.

ESS 화재사고 조사단은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화재사고를 조사한 결과 개별 사업장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배터리 이상이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ESS는 불이 나면 전소되는 특성상 발화지점 배터리가 소실돼 원인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종합적인 조사와 분석을 근거로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조사단은 설명했다.

조사단은 화재 현장의 과거 이력과 환경영향, 전기적 충격 가능성 등 지난 조사위에서 제시된 화재 원인을 포함한 전반적인 사항을 검토했다.

그 결과 5건의 화재 중 4건에서 배터리가 발화요인으로 나타났고 비슷한 사업장의 유사한 운영기록을 가진 배터리를 수거해 분석해보니 내부 손상 등 화재를 가져올 만한 요인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경남 하동만 배터리 이상으로 지목할 수 있는 단서가 없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배터리 자체의 문제보다는 관리 등 외부요인을 지적했던 첫 번째 조사와는 완전히 결이 다르다.

첫 번째 조사에서 직접적인 책임에서 벗어났던 배터리업계는 이번 조사 결과로 상당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ESS 설비업체와의 책임 소재 공방이 벌어질 가능성이 생긴 것은 물론 해외 진출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조사단의 권고를 반영해 신규설비는 충전율 제한을 옥내 80%, 옥외 90%로 의무화하고, 기존설비는 동일한 충전율로 하향토록 권고하는 추가 안전대책을 내놓았다.

아울러 신규 설치하는 ESS 설비는 물론 기존에 설치한 설비에 대해서도 블랙박스 내 운영 데이터를 별도 보관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그러나 배터리업체들은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LG화학은 이날 ESS 화재사고 조사단 결과와 관련해 "배터리가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판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지난 4개월간 실제 사이트를 운영하며 가혹한 환경에서 실시한 자체 실증 실험에서 화재가 재현되지 않았으며 조사단에서 발견한 양극 파편과 리튬 석출물, 음극 활물질 돌기, 용융 흔적 등은 일반적인 현상이거나 실험을 통해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SDI 역시 설명자료를 내고 "배터리는 ESS 화재와 인과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조사단이 분석한 내용은 화재가 발생한 사이트가 아닌 동일한 시기에 제조돼 다른 현장에 설치·운영 중인 배터리를 분석해 나온 결과"라며 "조사단의 결과가 맞는다면 동일한 배터리가 적용된 유사 사이트에서도 화재가 발생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조사단이 밝힌 큰 전압 편차와 관련 "충전율이 낮은 상태의 데이터로 이는 에너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차이이므로 화재가 발생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삼성SDI는 "ESS 화재 발화지점은 배터리에서 시작됐지만, 화재 원인은 다양하다"며 "휘발유도 성냥불 같은 점화원이 있어야 불이 나는 것처럼 ESS에서 배터리는 유일하게 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연물로써 화재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 점화원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ESS 산업의 신뢰 회복을 위해 고강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난징산 배터리가 적용된 기존 국내 ESS 사이트 250여 곳의 배터리 교체를 시작할 계획이며 이에 따른 비용은 모두 자체 부담하기로 했다.

또한 자체 개발한 특수 소화 시스템을 국내 400여곳에 적용하고, 배터리 초기 설계 단계부터 전기충격 발생에서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3중 안전장치를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이번 고강도 안전대책과 관련해 약 2000억∼30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지난해 4분기에 충당금으로 반영했다.

앞서 삼성SDI도 지난해 10월 ESS에 특수 수화시스템을 전면 도입하는 등의 안전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