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4월호]

박대통령의 과학기술정책

과학입국으로 부국안보

鄭根謨(정근모) 총장, 박기념사업회 조찬강연

확고한 국가관으로 과학기술 진흥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회(회장 柳陽洙)

는 3월 9일 상오, 정근모(鄭根謨) 명지대 총장을 초청, ‘박대통령의 과학기술정책’에 관한 조찬 강연회를 가졌다. 정 총장은 KAIST 초대 부원장, 한국과학재단 이사장, 국제원자력기구 대사 및 총회의장, 12대 및 15대 과학기술처 장관을 역임했다. (편집자)

2012-06-28_181438.jpg

기술 대책 있는가… 역사적 질문

대한민국 건국 후 곧 6·25를 겪으면서 국가 존망의 위기를 겪었다. 초대 이승만 대통령은 국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원자력연구소를 설립하고 실험용 원자로 Triga MarkⅡ를 도입하고 각료급 원자력원을 설치했다. 이것이 우리나라 과학기술행정체제의 시발이 됐다.

1961년 5·16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대통령은 조국 근대화를 위해 경제발전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했다. 1962년 1월,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절에 논의한 제1차 5개년 계획에는 과학기술 부문이 빠져 있었다.

이를 간파한 박 대통령은 “우리가 지금 새 공장을 짓고자 하는데 우리가 갖고 있는 기술과 기술자만으로 가능한가, 아니면 어떤 대책이 있는가”라는 역사적인 질문을 했다.

이 질문이 도화선이 되어 정부는 기술수급 계획을 구상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개발계획과 같은 차원에서 국가 과학기술진흥 계획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1962년 3월 21일, 제1차 기술진흥 5개년 계획을 국가계획으로 확정 시켰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과학기술 개발계획의 효시이다.

최고 지도자의 선견지명

포병 장교 출신의 박 대통령은 국가안보와 경제개발에 있어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국가발전 시책으로 강력 추진한 최고 지도자의 선견지명을 보여주었다.2012-06-28_181447.jpg

우리가 월남전에 참가한 후 박 대통령이 워싱톤을 방문 존슨 대통령과 회담할 때 이미 실무자간에 합의한 10개항 외에 따로 선물 하나 주겠다는 제의가 정치와는 상관없는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이다. 박 대통령은 이를 계기로 대통령 직속으로 경제과학 상임위원회를 설립하고 뒤에 과학기술처 초대 장관으로 입각한 김기형(#金基衡) 박사를 상임위원으로 임명했다.

이때부터 매월 경제동향 보고회에 경제과학 상임위원이 참석케 하다가 1967년에는 과학기술처를 발족시켰다. 그러니까 KIST는 기초과학연구가 아닌 경제발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의 일환으로 산업기술연구기관으로 발족 시켰다.

박 대통령은 KIST의 설립자이지만 통상적인 설립자가 아니었다. 시간 있을 때마다 건물이 올라가는 과정을 챙겨보고 식목도 따지다가 임업시험장에 있던 나무들은 모두 살리라고 지시했다. 그 뒤 과학기술자들이 입소하자 일일이 격려하고 연구발표를 꼭 들어줬다.

확고한 국가관과 리더십

KIST초대 소장이던 최형섭(崔亨燮) 박사가 “실상 초대 소장은 박 대통령이셨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국가발전을 위해 만든 두 가지 기반이 과학기술 전문 인력을 육성한 KAIST와 ADD(국방과학연구소)라고 볼 수 있다. KAIST는 지금 날이 갈수록 우리나라 과학기술 저변을 확충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ADD는 박 대통령의 한(恨)이 서려있다.

자주국방을 신봉한 박 대통령은 ADD에 무한한 집념과 애정을 쏟았지만 다음 정부에 의해 해산되고 말았으니 너무나 안타깝다.

오늘의 대한민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고 과학기술능력도 국제적으로 인정받으면서 자주국방의 가능성을 갖게 된 것이 박 대통령의 뚜렷한 국가관, 특히 과학기술입국을 중심으로 한 부국안보(富國安保)정책의 업적이 아니고 무엇인가.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