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각국 동향 분석·대응책 제시

TPP 타결 임박
글로벌 전자업계 분주
KOTRA, 각국 동향 분석·대응책 제시

KOTRA가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 타결이 임박하자 세계의 전자업계가 분주하게 움직인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전자업계가 관세보다 생산요소의 변화와 지재권 보호 등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며 TPP 타결에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상, 시장변화 따른 생산기지 이동

전자산업은 1997년에 발효된 WTO의 정보기술협정(ITA)으로 이미 무관세가 적용되는 품목이 많아 관세는 미미한 이슈에 지나지 않는 반면 TPP에 따라서는 일부 제품의 관세면제, 진출국의 인건비 상승, 지재권 침해 등 다양한 통상, 시장변화가 예상되어 일부 글로벌 전자기업들은 생산기지를 이동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보기술협정(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은 컴퓨터 통신장비 반도체 등 주요 IT 제품과 부품(203개) 관세를 철폐하기 위한 협정으로 IT 품목 교역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체결됐다.
KOTRA는 이 보고서를 통해 미국과 일본 기업들이 자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겨 고품질 생산전략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어 우리나라 소재부품 수출의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전자업계의 U턴 현상은 중국, 인도, 태국 등의 생산기지 인건비 상승, 지재권 침해, 유통비용의 상승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반면에 국내 전자업계는 TPP 참여 여부에 따라 경쟁여건의 변화를 면밀히 분석해 미국과 일본의 주요기업에 대한 소재부품 수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토록 권고했다.
이 보고서는 베트남과 멕시코 정부는 글로벌 생산거점이 되도록 적극적인 투자 유치정책을 마련할 방침으로 TPP를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소개했다. 반면에 TPP에 참여하지 않은 태국은 글로벌 전자기업들의 생산기지 이전을 우려하여 참여를 촉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TPP와 자국 전자산업은 무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일부 외투기업들이 중국공장을 철수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KOTRA 통상지원총괄팀 양은영 팀장은 우리나라 전자업계 역시 글로벌 생산체제 재편 움직임 속에서 전략적 포지셔닝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글로벌 전자업계의 움직임을 파악해 진출국의 내수시장과 주변국 시장으로 수출 다변화, 공급망 재배치, 한류열풍 활용 등의 전략을 마련해 TPP 역내 생산체제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PP 관련 각국 전자업계의 동향은 별표와 같다.

▲ 주요국 전자업계 동향<자료=KOTRA>

[본 기사는 월간 경제풍월 제191호 (2015년 7월호) 기사입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