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진오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16세기 문정왕후가 발원한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를 보물로 지정했다.

▲ '보물 제2012호 '회암사 명 약사여래삼존도'.(사진=문화재청)

보물 제2012호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檜巖寺’銘 藥師如來三尊圖)는 1565년(명종 20년) 중종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년)가 아들인 명종(明宗)의 만수무강과 후손 탄생을 기원하며 제작한 400점의 불화(16세기 승려 보우가 쓴 화기에 의하면, 당시 석가·약사·미륵·아미타불의 부처·보살을 소재로 금니화(金泥畵)와 채색화(彩色畵) 각 50점씩 총 400여 점의 불화를 조성했다고 함) 중 하나로, 경기도 양주 회암사(檜巖寺)의 중창에 맞춰 조성된 것이다.

회암사의 대대적인 불화 조성을 추진한 문정왕후는 당시 막강한 권력을 소유했던 왕실 여성이자 많은 불사(佛事)를 추진한 불교 후원자였다.

회암사는 문정왕후의 후원을 받은 승려 보우의 활동기에 전국 최대 규모의 왕실 사찰로 번창하다 이후 쇠퇴해 19세기 초 폐사지가 되었고, 지금은 ‘회암사지(檜巖寺址)’라는 명칭으로 사적 제12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화는 가운데 본존인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에 월광보살(月光菩薩), 오른쪽에 일광보살(日光菩薩)을 배치한 간략한 구도로, 금니(금물)로 그려 매우 화려하고 격조 있는 품위를 보여준다.

▲ '보물 제2012호 '회암사 명 약사여래삼존도'가 봉안됐던 경기도 양주 회암사터 전경'.(사진=문화재청)

주존불과 보살 간에 엄격한 위계를 두어 고려불화의 전통을 따랐고 갸름한 신체와 작은 이목구비 등 조선 전기 왕실 발원 불화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애초에 제작된 총 400점의 불화는 대부분 흩어져 현재 미국과 일본 등지에 총 6점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국내에는 ‘약사여래삼존도’만이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는 조선 시대 최대 규모 왕실 불사 회암사에서 제작한 역사적, 불교사적으로 상징성이 높은 작품이다.

조선 전기 왕실불교 부흥에 영향을 끼친 왕실 여성들의 활동과 궁중화원이 제작한 불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