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최용선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두산중공업이 구조조정과 명예퇴직을 단행한데 이어 계속되는 경영난에 휴업을 검토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두산중공업의 경영난이 두산그룹 전체의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세계 발전 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글로벌 발전업체들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두산중공업 역시 이를 피해가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두산중공업은 지난 2014년 이후 6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의 경우 매출액은 15조6597억 원, 영업이익은 1조768억 원으로 전년보다 6.1%와 7.3% 증가했지만 당기순이익을 내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두산중공업 역시 노력해왔다. 지난 2014년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200명 정도를 구조조정과 동시에 사업 다각화(가스터빈 국산화, 풍력, 수소 등), 신기술 개발, 재무구조 개선 등의 자구 노력을 펼쳐왔다. 지난달에는 2600여명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는 등 다시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섰지만,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최근 경영상 휴업까지 검토하게 된 것이다.

두산중공업은 공시를 통해 "이번 조치는 창원공장 조업이나 사업을 중단하는 게 아니라 일부 유휴인력을 선별해 일정 기간 쉬게 하고 임금 일부를 삭감해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휴업이 앞서 단행한 구조조정의 연장선 상에서 진행되는 것이란 설명이다.

그러나 두산중공업 노동조합은 회사의 휴업 협의 요청을 거부하면서 오너가가 사재 출현, 사내유보금 사용, 두산 지주의 지원 등을 통해 경영난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향후 노사간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의 위기는 탈원전 정책과 글로벌 발전시장 침체 등 복합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두산중공업 뿐만 아니라 GE와 지멘스, 미쓰비시 등 발전소 주요 기기를 제작하는 회사들이 그동안 어려움을 겪어 2017년과 2018년 인력 조정이 있었다”며 “발전 업계 저성장과 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두산중공업이 그룹 중간 지주사로 자회사 재무부실 지원을 떠맡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두산중공업은 과거 두산건설, 두산밥캣 등의 재무 부담이 커질 때마다 그룹 내 해결사로 등장해 그룹사 차원으로 번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해왔다. 실제 2013년 이후 유상증자와 현물출자, 상환전환우선주(RCPS) 정산을 통해 두산건설에 지원한 금액만 1조7000억 원 수준이다.

이에 두산중공업의 위기가 그룹 계열사 전체에 영향을 끼칠 것이란 분위기다. 두산중공업의 최대 주주는 ㈜두산으로 44.86%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이에 두산중공업에서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면 그 위기가 두산그룹의 지주사인 ㈜두산에 바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심원섭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밥캣의 이익이 두산중공업에 귀속되지만 두산중공업 자체의 재무 부담 때문에 자금이 두산으로 흘러가지 못한다는 점이 두산 지배구조의 약점”이라며 “그룹의 허리역할을 해야하는 두산중공업의 경영 부진은 그룹 전체의 원활한 자원배분에 큰 제약조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