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11월호]

폐지수입 연간 2억2천만$

국산 수집 재활용율 높여야

글 / 申貞姬 부장 대우

수입물량 연간 1백90만톤

연간 1백90만톤 이상의 외국산 폐지가 수입되고 있다. 여기에 소요되는 외화만도 2억2천만달러에 이른다.

이는 국내 종이 재활용율이 매년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폐지 재활용이 미흡함을 나타낸다.

한국제지공업 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종이 생산을 위해 수입한 외국산 폐지는 1백 96만 3천톤 2억 2천만달러에 달했다. 국내에서 수집된 폐지는 3백 86만 9천톤으로 국산폐지 재활용률은 58.2%를 기록했다. 그동안 자원재활용 방침에 따라 국산폐지 활용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91년 43%에 불과하던 재활용률이 94년 50.3%, 96년 54.7%, 98년 58.2%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외국산 폐지 수입액이 연간 2억달러를 넘는다는 사실이 놀랍다. 이유는 두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종이 재활용 등으로 국내 폐지 수집이 매년 늘고 있으나 아직도 엄청나게 공급량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폐지의 품질문제다.

90% 이상 미국산에 의존하는 수입폐지는 나무에서 바로 종이를 만든 것이다.

따라서 펄프 대용으로 쓰일 수 있을 정도로 폐지의 품질이 좋다. 그러나 국내산 폐지는 펄프와 폐지를 계속 재활용한 것으로 원천적으로 품질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폐지는 1톤당 수입가격이 1백30달러인데 비해 수입펄프는 1톤당 5백40달러로 4배나 비싼 점을 비춰볼 때 폐지는 펄프대용으로 쓰이기 위해서도 일정량씩 수입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따라서 국내 폐지 재활용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국산 폐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국민 모두가 힘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다.

재활용품 분리수리 이후 국내 폐지수집이 양적으로는 늘어나고 있으나 이제부터는 품질향상에 역점을 둬야 한다는 결론이다.

분리 배출해야 품질 좋아져

제지용 자원으로서 폐지는 매우 중요한 원자재이다. 폐지의 종류로는 헌 신문지, 인쇄지, 포장지, 골판지, 잡지, 종이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을 각각 재활용 할 경우 처리 방법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나게 된다.

헌 신문지는 신문 용지나 기타 인쇄용지 등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인쇄지, 잡지 등도 상자류나 인쇄용지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상자류로는 골판지, 골심지, 상자류 등을 만들며 모조지, 복사지와 같은 고급 폐지로는 화장지와 인쇄용지를 만든다.

최근 우유팩으로 고급화장지를 만들어 폐지의 재자원화에 한몫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이들 폐지를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분리, 배출하는 것이 재활용이 쉽고 품질 또한 높일 수 있다.

가정에서 분류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 폐지로는 신문, 잡지, 헌 공책 등을 비롯 각종 상자류, 사무용지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폐지를 분리 배출할 때 주의할 점은 오물이나 비에 젖지 않도록 함은 물론 비닐,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사 등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신문지의 경우 신문지만 따로 모아 30㎝ 정도의 높이로 끈으로 묶어서 배출한다. 이때 비닐 봉지에 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비닐이 섞으면 재활용이 어려워 비닐을 다시 분리해야하는 번거러움이 따른다. 헌책, 잡지류, 노트 등도 신문지와 같은 요령으로 배출하되 비닐 코팅이 되거나 접합된 겉표지는 재활용이 어려우므로 제거하고 배출해야 한다.

라면상자나 각종 가전제품 포장재, 과자상자 등은 납작하게 부피를 줄인 후 끈으로 묶어 배출해야 한다. 우유팩, 음료수팩 등은 내용물을 비운 후 물로 씻어 말린 후 배출해야 보다 질이 좋은 재활용 종이를 만드는 데 쓰일 수 있다.

일반 사무실에서 배출되는 복사용지, 인쇄용지 등을 활용하면 더 품질 좋은 재생 종이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 비해 사무실, 직장 등에서의 분리 수거율이 낮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공공기관이나 사무실 등에서 배출되는 서류 중에는 보안을 위해 분쇄돼 배출되거나 재활용을 위해 분리 수거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공기관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종이류 소비를 줄이기 위해 이면지를 활용하는데 신경쓰는 만큼 폐지 배출에서도 재활용을 염두에 둔 분리 수거에 노력해야 할 때다. 그래야 폐지 수입비용을 다소나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재생지 의무구매 확대해야

폐지 수입에 따른 외화유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종이류의 소비행태도 변해야 한다. 즉 재생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올라가야 한다는 것이 종이업계의 주장이다. 재생노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현재로서는 미미할 정도이다. 앞으로는 재생용지를 사용한 문구류 이용률이 높아지는 것이 소망스럽다.

브라질 등이 벌목을 제한해 나가고 있으며 국제 펄프값이 상승하는 추세인점도 주목된다.

때문에 종이 재활용을 위한 시민운동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물론 종이사용량은 그 나라의 문화발전의 척도라고 한다. 경제성장률과 비례하기도 한다. 97년엔 종이 소비량이 7백97만2천톤에 이르렀으나 IMF사태이후 국민 모두가 허리띠를 졸라맸던 98년엔 종이소비량이 오히려 6백64만5천톤으로 줄어들었다.

전년대비 종이소비량이 83%로 줄어 그만큼 우리나라의 출판, 문화산업이 위축됐음을 증명한다. 근검, 절약에 따른 종이낭비를 줄이는 긍정적 측면은 살리되 출판, 문화산업이 위축되는 부정적 측면은 시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정부의 종이 재활용 정책 또한 빛좋은 개살구식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때다. 정부가 종이재활용을 위해 재활용 제품 구매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출판, 인쇄용 제품이 의무구매품목에 빠져 있어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 바로 그것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18일 「재활용 제품소비 촉진 대책」을 통해 두루마리용 화장지부터 전자복사용지 등 24가지 재생용지 제품을 의무구매확대 품목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이 안에는 복사용지, 전산바인더처럼 낱장으로 쓰이는 제품만 들어 있을 뿐 종이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출판용 제품이 빠져있어 부실하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 인쇄물은 품목상에서 「종이외 제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종이 재활용제품 의무구매 품목에서 제외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제 종이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하루도 뗄레야 뗄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다.

인류의 4대 발명품 중 종이가 한 분야를 차지할 만큼 문화발전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2천년을 눈앞에 두고 종이의 활용 정도에 따라 국가 발전에 가속도가 붙는다고 볼 수있다. 그리고, 종이의 소비 행태 및 재활용을 위해 조금씩 노력해 나감으로써 막대한 외화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 바른 생활경제가 아니겠는가.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