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4월호]

[한자도 우리민족이 만든글(19)]

()와 게

/ 陳泰夏(진태하 인제대학교 석좌교수)

우리 속담에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한다.’는 말이 있다. 마파람이란 말은 뱃사람들이 남풍(南風)을 일컫는 말이다.

이 속담을 가장 잘 인용한 것은 춘향전(春香傳)에서 이 도령이 거지 행색을 하고 장모 월매(月梅)의 집을 찾아 밥을 허겁지겁 먹자, 보다 못한 월매가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하는구나.”라고 한 장면이라고 생각된다.

이 밖에도 게도 구럭도 다 잃었다’, ‘게도 구멍이 크면 죽는다.’, ‘게 잡아 물에 넣는다.’, ‘게 새끼는 집고 고양이 새끼는 할퀸다.’ 등과 같이 에 대한 속담이 많다.

게로 만든 요리 중에서도 참게장에 대한 특이한 조리법과 만인에게 회자(膾炙)하는 기호식품(嗜好食品)임을 보아도 와 우리 한민족은 오랜 인연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에 대한 방언으로는 거이, , , 고이, , 궈이, , , , 그의, 그이, , , 기에, , , 등과 같이 많은 형태가 있으나, 어두에 「ㄱ」자음(子音)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어휘의 음운변천에 있어서 모음은 매우 유동적이기 때문에 어두 자음(子音)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한자에서 에 대한 글자로는 (게 해)가 있다. 은대(殷代) 의 갑골문(甲骨文)이나, 주대(周代)의 금문(金文)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진대(秦代)의 소전체(小篆體)「」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벌레 충)(풀 해)의 합체자로서 형성자(形聲字)이다. 그러므로 ()의 음이 곧 명칭으로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의 고음(古音)을 찾아보면, 운서에 佳買切, 擧解切로 표기되어 있다. 이 반절음(反切音)으로써 의 고음이 가 아니라, 였음을 알 수 있다. 스웨덴의 한학자(漢學者)인 칼그렌(高本漢)의 상고음을 [ai]로서 , 와 동일하게 보았다. 또한 일본에서 의 한음(漢音)[kai]이고 오음(吳音)[ge]이다.

현재 북경 음으로는 지에, 시에처럼 달리하고 있지만, 이상으로 볼 때 중국에서도 고대에는 어두음이 k였음이 확실하다.

이렇게 볼 때 자는 동이족(東夷族)의 말, 곧 지금 우리말의 에 유사한 형태를 표음한 글자임을 알 수 있다. 역으로 의 자음을 통하여 우리말 의 고대어를 추찰하면 [ki]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혹자는 우리말의 라는 말이 한자 의 고음에서 유입된 말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되면 우리말의 는 진대(秦代) 이후에 형성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상식으로도 는 진대 이전부터 존재하였음을 것이며, 이른 시대부터 동이족의 구어(口語)로서 써 내려오던 말을 적기 위해서 와 같은 형성자를 만들었음을 생각할 때, 결코 우리말의 자의 음에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없다.

더구나 (게으를 해)의 고음도 , 와 동음으로서 어두자음이 k였고, 또한 에 대한 우리말이 게르다, 게으르다로서 역시 어두자음이 k인 것으로 보아도 우리말에서 한자의 음이 취해진 것이지, 한자음에서 우리말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없다.

고대 한자음에는 k의 어두 자음(子音)이 뒤에 h음으로 변한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땀 한), (가물 한), 「」(우리 합), (무지개 홍), (고개 현) 등에서 볼 때 (), (), (), ()[k] 어두음이 [h]음으로 변음 되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물 하)자는 ()()의 합체자로서 형성자이다. ()의 음()에서는 로 발음되어 본래의 [k]의 음이 [h]의 음으로 변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보면 고대 동이어(東夷語)에 있어서 [k][h]는 상호 통음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