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김종현 기자 @이코노미톡뉴스] 금융위원회와 더불어민주당이 카드수수료 인하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카드업계는 인하 폭이 예상 밖을 넘어섰다며 큰 당혹감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정부 측이 마케팅 비용에 칼을 대면서 부가서비스가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여 결국 소비자들이 피해를 보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26일 더불어민주당과 당정협의를 통해 ‘카드수수료 종합 개편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연매출 500억 원까지 2% 이내로 수수료율을 조정해 가맹점은 평균 147만 원~505만 원까지 부담이 줄게 됐다.

금융당국은 카드사들이 기존 발표한 수수료 정책(6000억 원 감소)을 포함해 모두 1조4000억 원의 카드 수수료 인하 여력을 갖고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카드업계는 큰 폭의 수익 감소가 예고돼 큰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본지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번 결과에 당혹스럽다. 마케팅 비용을 줄이는 부분에 있어서는 금융당국이 테스크포스(TF) 팀을 꾸려 조정하겠다고 해서 당장 구체적인 방안을 거론할 수는 없다”면서도 “무이자할부 같은 일회성 마케팅 비용은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미 숫자가 나온 만큼 줄어드는 수익을 반영해 비용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고 탄식을 내뱉었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예상보다 범위나 금액이 커서 충격이 크다”면서 “수혜자가 99%라는 건 사실상 100% 자영업자들이 혜택을 본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번 발표에 따른 경영 전략은 12월이나 돼야 구체화될 것 같다. 하지만 그간 내실을 위해 일회성 마케팅 비용을 축소해왔는데 이번 발표로 사실상 관련 비용이 사라지게 됐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관계자는 “지금은 카드 자체 부가서비스도 줄여야할 판인데 3년간 묶여있어 난감하다”면서 “결국 부가서비스 축소로 인해 피해는 고스란히 카드 사용자에게 돌아가게 됐다”고 우려했다.

이어 “순익이 대폭 축소돼 업계 종사자들은 고용불안 위기에 놓이게 됐다. 당장 생계문제를 걱정할 지경에 몰렸다”고 불안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카드수수료 인하 조정 폭이 너무 큰 것에 대한 불만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조정 폭이 너무 커서 당황했다. 이번 혜택을 입는 가맹점이 너무 많다”면서 “영세 상인들과의 상생은 이해하겠지만 50억 원, 5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가맹점을 굳이 소상공인으로 볼 수 있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번 결정은) 내수 침체, 경기 불안에 대해 일방적으로 카드사에 책임을 전가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대형카드사는 여력이 있지만 중소 카드사의 경우 당장 생존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몰렸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이번 발표에서 금융당국은 마케팅 비용과 카드설계사 비용을 줄이면 충당할 수 있다고 판단했는데 카드사로서는 당장 카드설계사를 줄일 수밖에 없다. 이들은 급여도 높지 않은데 일자리창출과는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이 외에도 카드사들은 향후 카드 상품 조정에 대해 그간 제휴사 재계약 여부, 카드 사용자 수 등에 따라 상품을 조정했다며 이번 결과가 직접적인 계기가 될 지는 판단하기 이르지만 혜택이 많은 카드 상품을 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놨다.

결국 이번 조치로 자영업자들은 수수료부담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게 됐지만 그 피해는 고스란히 카드 이용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당장 카드사들이 비용을 최소화하는 경영전략으로 선화하게 되면 카드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각종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 불편이 예상된다.

특히 무이자 할부 같은 서비스가 대폭 축소되면 카드 할부 등을 이용해야 하는 카드이용자들은 별도의 이자까지 부담하게 돼 비용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카드의 편리함이 주는 소비촉진 효과가 급속히 위축될 수 있어 내수 부진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과 카드업계가 어떤 해법을 내놓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