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독에 있는 베토벤 동상. (사진=국가기록원)
서독에 있는 베토벤 동상. (사진=국가기록원)

[강규형(명지대 교수, 서울시립교향악단 이사장) 칼럼@이코노미톡뉴스(EconomyTalk News, 이톡뉴스)] 세계의 거의 모든 교향악단은 매해 마지막 공연으로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을 연주한다. 그의 위대한 교향곡 9번을 경건히 들으며 한 해를 마무리하자는 뜻이 있고, 베토벤의 전체 음악을 관통하는 주제인 <암흑에서 광명>으로의 정신이 가장 잘 구현된 작품이 <합창>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합창>은 영혼의 음악이다. 청력이 손실된 상태에서 초인적인 정신력으로 완성한 곡이며, 듣다 보면 인간이 만들어 낸 작품이 아닌 듯한 느낌까지 든다. 신년 음악회에서도 드물게 9번이 연주되는 경우도 있다. 근대지향의 인간이었던 그는 새로운 시대를 갈망하는 그의 열정(광명)을 작품 속에 녹아 넣었었다.

내가 실황과 음반으로 들은 9번은 셀 수 없이 많다. 각 연주마다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해석은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이 곡을 대하는 모든 지휘자들의 공통적인 마음은 경건함이고,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 이 곡을 빠르게 연주한 지휘자들도 꽤 있었다. 토스카니니나 젊은 시절 카라얀은 빠른 템포로 이 곡을 연주했지만, 그냥 빠른 것이 아니라 구조와 개성, 그리고 팽팽한 긴장감으로 연주했었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연주는 전설적인 빌헬름 푸르트뱅글러의 1951년 바이로이트 실황연주(혹은 54년의 루체른 실황연주)와 카를 뵘(Böhm)의 1970년 스튜디오 녹음이다. 이 연주들은 느긋한 템포로 연주하는 편이다. 그러나 그냥 시간만 늘린 것이 아니라 그 속에 혼을 집어넣고 연주하니 육중한 느낌이 든다. 예를 들어 뵘 지휘 빈 필하모닉의 헤비급 연주는 긴 시간이지만 숨을 쉬기 힘들 정도로 압도적인 연주였다.

<합창>은 절대로 가볍게 일상적으로 연주돼서는 안 되는 곡이다. 올해도 한국의 교향악단들은 9번을 연주하면서 공식일정을 마쳤다. 매해 마지막 공연으로 9번을 연주하는 것도 좋지만, 가끔 가다는 레퍼토리의 변화를 주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실제로 그런 경우가 가끔 보인다. 새해는 송년 음악회의 정신이 살아나는 광명의 시대가 되길 기대한다.

오페라 극장에선 한해 마지막 공연으로 요한 슈트라우스(Strauss) 2세의 <박쥐>(Der Fledermaus)를 공연하는 경우가 <합창>만큼은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꽤 있다. 연말연시라는 상황설정에서 벌어지는 지독히도 재밌는 오페레타(경가극·輕歌劇이라고 번역된다. 가볍고 즐겁고 짧은 오페라의 형식. 나중에 뮤지컬로 발전된다)라 한해의 시름을 웃으며 날려 보내라는 뜻이 담겨있다.

극 중에 노래를 부르지 않는 코믹한 역할인 간수(교도소 교도관) “프로쉬(프로슈 라고도 표기)”역에는 인기 있는 코미디언 또는 희극배우가 기용된다. 필자가 어렸을 때는 당대 최고의 코미디언 “후라이보이” 곽규석도 이 역을 맡았으며, 연전에는 인기 절정의 김병만이 프로쉬로 분해서 큰 웃음을 선사했었다. <박쥐>의 좋은 연주는 아주 많다. 인터넷 서점에서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쉽게 좋은 연주들을 구할 수 있다. 필자는 특히 카를 뵘 지휘 또는 카를로스 클라이버 지휘의 도이치그라모폰(DG) DVD 들을 강력히 추천한다.

전 KBS이사였던 강규형 명지대 교수 및 서울시립교향악단 이사장.
전 KBS이사였던 강규형 명지대 교수 및 서울시립교향악단 이사장.

발레에선 크리스마스이브를 무대로 한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이 세계의 거의 모든 발레단에서 송년공연을 장식한다. 한국에선 국립발레단과 유니버설발레단이 선의의 라이벌 관계로 이 작품을 보여주며 관객들을 즐겁게 해준다.

반면 연초에 열리는 신년음악회로서 제일 유명한 것은 빈(Wien 비엔나)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흥겨운 왈츠 등을 들으며 한 해를 시작하는 <신년 음악회>이다. 이 음악회는 세계적인 명물이 된 지 오래다. 요제프 슈트라우스, 에두아르트 슈트라우스를 포함한 슈트라우스 가문의 곡들이 주로 연주되는데, 이 음악회의 마지막 곡은 왈츠곡의 황제라 불리는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왈츠의 황제라 숭상되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작품, 집안의 장남)이 연주되고, 앙코르곡으로는 이 집안의 아버지이자 “왈츠의 아버지”란 칭호를 갖는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흥겨운 “라데츠키 행진곡”이 피날레를 장식한다. 이때 관객들은 박수를 치면서 연주에 참가할 수 있는 특전을 누린다. 이렇게 세계의 새해는 즐겁게 시작된다.

-윗글은 자유일보 202.12.28일과 2022.1.4일에 게재된 칼럼들을 필자가 수정증보한 것이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