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는 남의 일인 청춘

영화 '바람 불어 좋은 날(Good Windy Day, 1980)' 스틸컷.
영화 '바람 불어 좋은 날(Good Windy Day, 1980)' 스틸컷.

[최영훈 칼럼@이코노미톡뉴스] SNS팀장과의 인연으로 작업실에 종종 놀러오는 T군은 중소기업에 다니는 올해 서른 한 살의 착실한 친구다. 첫인상은 한때 유행했던 캐릭터인 마시모로 같아서 눈웃음도 덩치도 맞춤이다. 맛 집 찾아다니는 걸 좋아하고 사무실에 올 때는 빈손으로 오는 법이 없다. 제법 오래 알고 지냈다는 팀장한테도 언제나 깍듯이 존댓말을 하고 그 팀장보다 대여섯 살 많은 감독과 나는 늘 어려워한다. 우리가 실없는 농담을 해야 조금 긴장을 푼다.

어느 날, 이동하는 길에 집까지 태워다 준 적이 있다. 나이불문, 남자 셋이 한 차에 탔으니 연애 이야기가 나왔는데 감독이나 나나 결혼 십 년차가 훌쩍 넘었으니 T군의 연애사가 궁금할 뿐이었다.

“니 연애는 해 봤나?” 감독이 물었다.
“예, 딱 한번 해봤습니다.”
“얼마나?”
“딱 삼 개월 했습니다. 손도 못 잡아 봤습니다.”
“니 그럼 밤엔 뭐 하노?”
“유튜브도 보고 게임도 좀 합니다.”

T군이 내릴 때까지 우리는 혀를 차가며 별 도움 안 되는 조언을 잔뜩 쏟아냈다. 그렇게 횡단보도를 건너가는 T군의 뒷모습을 보며 떠오른 영화가 이 영화다. 작년에 문화기획을 하는 후배인 S군이 옛날 영화를 보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패널로 와주십사 해서 몇 번 함께 옛날 영화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다. 그 첫 번째 작품이 바로 안성기 선생님의 성인 연기 데뷔작인 <바람 불어 좋은 날>이었다.

80년 청춘의 어려운 사랑


영화는 80년대의 밑바닥 인생을 다룬 <영자의 전성시대>,<꼬방동네 사람들>과 유사한, 시대의 초상 같은 영화다. 줄거리는 간단한데, 생계를 위해 고향을 떠나온 세 청년이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결국은 세상에도 속지만 여전히 희망이 남아 있음을 말하는 이야기다.

후배 S군은 촬영 말미에 마무리 멘트를 부탁했다. 후배의 부탁에 “예나 지금이나 청춘에게 사랑은 어려운 것 같다.”고 했다. 그 시절에는 가난해서, 배우지 못해서, 신분의 차이 때문에 연애도 결혼도 쉽지 않았고 그래서 신파극의 제목처럼 사랑에 속고 돈에 울었지만 요즘도 그런 사랑의 양상은 전혀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고 했다. 신경림 시인의 시처럼 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지 않고,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지 않지만 가난하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을 버려야 하는 청춘의 삶이 수십 년 후에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고 했다.

모든 시대의 청춘은 괴롭다


N포 세대라는 말을 들은 지 대략 십여 년 된 것 같다. 처음 들었을 때는 취업과 그로인해 안정 된 삶을 얻기까지 연애, 결혼, 출산, 취미 같은 인생의 즐거움을 유예시키고 살아야 하는 이 시대의 청춘들의 한숨을 제대로 담아낸 용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청춘이 N포 세대가 아니었던 적이 있었는지, 어느 시대 청춘에게 인생과 사랑이 쉬워서 모든 게 허락됐던 적이 있었는지 의문이 들었다.

무턱대고 사랑하고 가난도 아랑곳하지 않은 채 살림 차렸을 것 같은 80년대 같지만 그 시대에도 사랑은 쉽지 않았다. 이 영화에 나오는 모든 이들이 사랑에 실패한다. 그리고 목수정의 표현을 빌리면, 에로스의 주도권이라는 십자가를 지고 사는 한국 남자들에게 시대를 막론하고 여전히 사랑은 어렵다. 어떻게 타자를 알아가고 사랑을 해야 할지 고민하기 전에 이 사랑을 오직 남자의 힘으로 지켜나가야만 한다는 강박에 사로잡혀 정작 사랑 그 자체를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일지 모른다. 그리고 그 사랑의 좌절을 가져온 강박은 해결 되지 못한 채 지금도 여전히 반복 되고, 오히려 더 견고해져 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투명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고 “믿는” 타자의 정보로 인해 타자와 나의 부의 차이, 학력의 차이, 계급의 차이, 미래의 차이가 더 두드러지게 느껴져서 그 강박과 불안이 오히려 더 심화되기 때문이다.

사랑이라고 쉬울 리 없다


며칠 전 TV에서 <사관과 신사>를 보다가 다시 이 영화가 떠올랐다. <사관과 신사>가 딱 2년 뒤에 개봉했으니 시기적으로는 비슷한, 다른 대륙, 다른 나라의 청춘 영화다. 얼핏 전혀 다른 얘기 같지만 여기나 거기나 청춘들은 사랑하기 어렵고 사랑이 괴로운 건 매한가지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리고 아내의 차에서 종종 흘러나오는 <길구봉구>의 <그래, 사랑이었다.>를 듣다보니 요즘도 그렇게 청춘들이 사랑 앞에서 서성이고 망설이다 “썸”이나 타는 이유를 알 것도 같았다.

청춘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쩔 수 없이 서툴고 예민하고 그렇기에 모든 사랑 앞에서 아프고, 미련했고, 어리석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아니 어리석음이 먼저여서 미련하고 아프게 사랑하는지도 모르고, 그래서 “서로 다르게 사랑했고 미워했었지만, 그래 아름다웠던 사랑이었다.”라고 말할 수 있는 건지도 모른다. 아프니까 청춘이 아니라 아프니까 아름다운 것이 청춘의 사랑인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N포 세대의 전형, 모태솔로라고 해도 무방한 T군과 몇 년 전에 연애가 끝난 후 지금까지 여자 곁에 가보지도 못한 후배 S군에게 이어질 문장이 위로가 될지 모르겠다. 수 백 년 전에도, 수십 년 전에도, 그리고 지금도, 한국이나 미국이나 사랑을 하고 있는 청춘들의 속은 괴롭긴 마찬가지다. 상대가 뭘 원하는지 몰라서 괴롭고, 어떻게 사랑을 유지해야 할지 몰라서 괴롭고, 미래를 알 수 없어서 괴롭고, 궁극적으로 그렇게 찾고 싶은 인생의 정답이, 결국엔 없기에 괴롭다.

이 무책임한 위로에 변명을 얹자면 이 괴로운 사랑을 할 만한 이는 그래도 청춘 밖에 없다. 물론 안다. 한병철은 주체를 타자에게 던지는 것이 에로스라 했지만 그 던져짐을 시도하기엔, 그 던져진 주체를 넙죽 품에 안아 주기엔 청춘은 불확실한 존재이고, 오늘의 청춘은 불확실성이 더 심화된 시대를 살고 있다는 걸 안다. 그러니 존재와 미래의 불확실성을 한층 높일 수밖에 없는 사랑을 한다는 것이 모험 같을 수밖에 없다는 것도 안다.

사랑을 견뎌낼 수 있는 아주 짧은 순간


사랑이라는 모험은 어린 시절 자전거나 수영을 배우는 모험하고는 비교도 안 된다. 게다가 사랑은 자전거나 수영처럼 한번 배우면 몸이 기억해서 매번 간단히 반복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렇게 사랑은 매번 낯선 것이 당연한 것이니, 마치 동남아에서 처음 두리안을 맛 본 이후에도 매번 먹을 때마다 예상했던 낯선 괴로운 미각이 덮치는 것과 같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바디우의 말처럼 “위험제로”의 사랑은 없고, 그 사랑이 “끈덕지게 이어지는 일종의 모험”이라면 그 위험과 괴로움을 감당할 이, 누구겠는가? T군과 S후배 같은 청춘 말고 누가 그런 괴로움을 감당하겠는가.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